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2012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인책형) 19번 오답 풀이 딱 보니 기피해야 할 문제인 것 같아서 피했던 문제문제가 길기에 뭔가 어려운 느낌이 들어서 피했다. 근데 보니까 해볼만한 문제라고 생각한다.A-B (기존)A역에서 B역까지 1호선을 탄 뒤 2호선을 타고 B역에 도착할 수 있지만 역 간 운행 소요시간이 1호선이 제일 길고 1호선을 타고 2호선에서 환승한다고 해도 역 또한 상당히 많기 때문에  1호선-2호선은 제외해야 하는 옵션이다.  그러면 남은 옵션은 1-31-3-2 이렇게 두 가지가 있다. 1-3과 1-3-2 비교환승시간 3분을 포함하면 걸리는 시간은 6*2 + 2*6 + 3 = 27분이 된다.  1-3-2의 경우, 6*2 + 2*1 + 3*2 + 4*5 인데, 벌써 27분을 훨씬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1-3으로 해야 하고, 최단 시간은 27..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인책형) 15번 오답 풀이 최소 시간 구하기1층에서 6층까지 갔다가 다시 1층까지 가는 시간을 구하는 문제다.  조건을 보자. 다 알겠는데, 세번째 조건이 좀 에바다.  한번 위로 올라갔으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야 한다고?  아무튼 이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면 먼저 1층에서 2층으로 가는 것보다는 1층에서 3층으로 가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어차피 위로 올라갔으면 또 내려가야 하기 때문에 2층에서 1층으로 가야 하는데, 이는 중복된다.  그러므로 1-3-2-5-4-6순으로 올라가야 한다.  이렇게 했을 때, 시간은 5+11+8+14+8+11= 57분이 걸린다.  그럼 이제 순찰은 끝냈으니 내려오는 데 걸리는 시간만 더하면 된다.  6층에서 3층까지 내려온 다음에 (9분)3층에서 4층 올라가고 (3분)4층에서 1층으로 내려가..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인책형) 17번 오답 풀이 각 인원이 먹을 수 있는 피자 파악하기일단 각 조각에 알파벳을 부여하면이렇게 된다. 이런 식으로 다 정리해 보면무는 A하고 C밖에 먹을 것이 없다. 이에 따라 갑, 을은 C를 먹을 수 없고, 병은 A를 먹을 수 없다.그리고 보면 G하고 I는 병밖에 먹을 사람이 없는 만큼,병은 G하고 I를 먹어야 한다.  그러고 보니 정은 J를, 을은 E를 먹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제 갑이 D, FF, HD, H를 먹는 3가지 경우를 생각해 보자. 2024.11.19 - [PSAT/상황판단] - 2011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선책형) 11번 오답 풀이 2011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선책형) 11번 오답 풀이문제 이해하기인접한 하나의 우물로부터 식수를 받아야 하는데좌/우, 상/하 상관은 없다.근데 대..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인책형) 12번 오답풀이 조건기간- 30일 가용인원- 100명ㄱ. 30일이 주어져 있지만 100명이라는 인원이 있기 때문에 동시에 두 선박 이상을 건조할 수 있다.  일단 5일 단위로 시간표를 편성해 보면이렇게 된다. 일단 가장 기간이 짧은 A에 20명을 투입하면나머지 80명을 B와 C에 분배할 수 있다.  A 작업이 끝나고 5일이 되었을 때에는 20명으로 또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그래서 10일이 되어 B와 C가 끝나서 가용인원이 100명이 되었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D와 E 필요 인력이 각각 40, 60명인 만큼,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총 25일이 걸렸다.그렇다면 건조할 수 있는 최대 선박 수는 5척이 된다.  ㄱ. X ㄴ.일단 ㄱ.에서 본 만큼, A-E까지는 전부 25일 내로 전부 다 할 수 있다. 수익은 그렇다..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인책형) 11번 오답 풀이 조건1'내려오는 경우, 구간별 트래킹 소요시간은 50% 단축된다' 이 조건부터 읽어야 한다. 다행히, 나야풀에서 베이스캠프까지 계속 오르막길이어서 상관은 없지만 이 중 내리막길이 있었다면 조건에 제시된 시간에 2배를 해야 한다.  해당 조건을 몰랐다면 시간이 상당히 지체되었을 것이다.  아무튼, 소요시간은 위와 같다. 이제 조건2를 보자. 조건2조건2-1왕복을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조건2-2, 2-3하루에 6시간만 움직일 수 있고, O으로 표시된 곳에서만 잘 수 있다는 것이다. 이거 18년도 민경채 문제가 생각나게 해주는 문제다2024.10.28 - [PSAT/상황판단] - 2018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 25번 오답 풀이 2018년 민경채 PSAT 상황판단 25번 오답 풀이분명히 쉬운 것 같..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상황판단(인책형) 6번 오답 풀이 ㄱ. 하원의원 선거가 1970년에 처음 실시되었고 상원의원 선거가 1972년에 실시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하원 의원 모두 임기가 4년이라는 데서(그리고 각주를 보면 상원·하원 선거가 매 4년마다 실시된다는 것도 근거가 됨)1980년에는 상원의원 선거가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ㄱ. O ㄴ.일단 1984년이면 상원의원 선거다. 왜냐면 1980년에 상원의원 선거가 실시되었음을 ㄱ.에서 봤기 때문이다. 근데 하원의원 선거 투표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했다고 했지, 상원의원 선거 투표율은 모른다.  그래서 1986년 하원의원 선거에 대해 얘기한 거라면 30% 미만에 머물렀다고 볼 수 있지만1984년은 상원의원 선거이므로 모른다.  ㄴ. X ㄷ.일단 A 선거구에 대한 얘기가 나오는 부분을 보면1990년..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인책형) 39, 40번 오답 풀이 지문 이해하기항아리에 공이 몇 개 들어 있는지는 모른다. 근데 검정 공이거나 하얀 공이다.  첫번째 두번째 검정공이 나왔을 때 세번째로 검정공이 나올 확률이 어떻게 될지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일단 논리 요소만 고려한 '계산법 A'에 의하면 첫째, 둘째 공이 검정일 때 셋째 공이 검정일 확률은 1/2이라고 한다.  '논리적으로 생각해 볼 때 새로 꺼낼 공이 검정일 확률과 하양일 확률은 같다'에서'엥? 아니 검정공이 몇 개 들어 있고 하양공이 몇 개 들어있는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같다고 하는 거지?'라고 생각했다. 근데 알았으면 이렇게 생각할 일도 없다.  검정공 1개 하양공 1개가 있다는 것을 알면 검정공 뽑을 확률은 1/2라는 건 다들 안다. 그러면 이런 접근 방식은 필요 없다.  그렇지만 모르기 때문에..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언어논리(인책형) 35번 오답 풀이 지문 이해하기부러움과 질투심을 나누고 있다. 이를 구별하기 위해서 이렇게 4가지 경우를 나누었다.  부러워한다면2, 4, 1, 3 순으로 혹은 2, 4, 3, 1 순으로 선호한다.질투심을 느낀다면1, 2-4, 3혹은1, 3, 2-4 또는2-4, 1, 3순으로 선호한다.  이제 를 보자.정리하면가희와 나희 모두 동일한 옷을 얻은 것이다. 그리고 가희가 나영을 질투하므로가희의 상황 선호도는 세 가지로 나뉘고 나영은 가희를 부러워하므로위 순서대로 상황을 선호한다.  이제 선지를 보자.  선지1번가희는 나영을 질투하는데, 가장 선호하는 상황은 경우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확실히 말할 수 없다. 1번. X 2번나영이 가장 선호하는 상황은 가희가 옷을 받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나영은 가희의 새 옷이 없어지길..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