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SAT/자료해석

2012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27번 오답 풀이 ㄱ. 2007-2009까지는 그렇다가 2010년 전년대비 증가율을 보면7에서 2가 증가하여 9가 되었다. 7의 50%는 2보다는 크다.  ㄱ. X ㄴ.보급률 계산은위 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일단 73.8에서 76.9로 가입대수가 증가한 것은 맞다. 근데, 전체 인구 감소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위 식을 통해 2009년 전체 인구는 73.8/1.21 이 된다.  그리고 2010년 전체 인구는76.9/1.25 라고 볼 수 있다.  근데 비교를 위해서는 738/121 vs 769/125라고 할 수 있다.  121에서 4가 늘어난 게 더 클까,738에서 31이 늘어난 게 더 클까? 121에서 4가 늘어난 것은 3% 정도 늘어난 것이다.(121의 1%는 1.21이고, 여기에 3을 곱해보면 3.61..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25번 오답 풀이 1번취업인구수는 에서 확인 가능하다.2017년 데이터를 보니 3065, 132, 3402라는 숫자를 확인할 수 있다. 단위가 천명이니  306만, 13만, 340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306 + 13 + 340 = 659만명이 되므로  1번. O 2번이건 간단하다.제도개혁에 투입되는 예산은 56억이고,대국민 홍보에 투입되는 예산은 10억이다.  10억에 5배를 해도 56억이 더 크므로 2번. O 3번보아하니 워크센터구축보다 더 예산 합이 더 큰 추진과제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서비스 환경조성'을 보면 2에서 97로 증가했다. 물론, 증가율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증가분을 따지는 것이지만2012년에 비해 2017년에 95만큼 증가한 것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17년도에 세부과제 예..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20번 오답 풀이 ㄱ.증가분은 240, 235, 155로 계속 줄어드는 양상을 띤다. 또한, 전체 등록사업자의 수도 계속 늘어나고 있는 만큼, 분자는 계속 줄어들고 있는데분모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는 꼴이다.  그렇다면 증가율은 매년 감소하는 것이 맞다.  ㄱ. O ㄴ.일반사업자 폐업신고자 수가 가장 많았던 연도는 2007년 아니면 2009년이다. 빈칸을 채워봐야 안다.  그럼 빈칸은 어떻게 채우냐?그렇다면 2455 = 2405 + 450 - 2009년 폐업신고자 수이므로2009년 폐업신고자 수 = 500 이 된다.  그럼 2009년이 가장 많은 해가 된다.  이제 법인사업자를 보자2008년이냐, 2009년이냐인데,  2008년 폐업신고자 수 = 475 - 450 + 75= 100이므로 2008년 가장 많은 해가 된다.  ..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19번 오답 풀이 두 가지 경우 존재. 다 볼 필요 없다.이 문제에서는 A가 동식물상이냐, 문화재냐로 경우가 갈린다.  시간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A가 동식물상일 때 조건에 들어맞으면 다른 경우는 찾을 필요도 없이 답을 마킹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A가 동식물상이 아니라면  반대의 경우밖에 없으므로 굳이 다른 경우를 대입해볼 필요가 없다.  그렇지 않으면 시간 소모가 큰 문제가 된다. 빈칸을 다 채워야만 풀 수 있는 문제일단 구해야 하는 것은 A, B, C다. 근데, 주어진 조건을 보니 A, B, C를 다 구하려면 각 빈칸을 채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그래서 일단을 보면 '전문가순위값'이라는 것이 있다.'전문가순위값'은 전문가들의 득표 수 순으로 1등부터 7등을 매기는데, 이 등수에 해당하는 것이 전문가순위값이 ..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17번 오답 풀이 ㄱ. 낚시에 걸리지 않게 뭐가 증가했는지 잘 보기과 는 유럽 관련된 거니까 를 봐야 한다.2010년에 비해 1.4%p 증가한 것이 맞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89.8%도 맞다.'그럼 맞는 선지인가'? 라는 생각이 들어서 ㄱ.을 옳은 선지라고 파악하고 그래서 틀린 문제다.  그럼 뭐가 틀린 걸까?2010년 88.4%와 2011년 89.8%는 전체 수출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88.4에서 89.8이 되었으니 전체 수출입액에서 아시아가 차지하는 비율이 1.4%p 오른 것은 맞다.  하지만 여기서 묻는 것은 '전년대비 전체 수출입액에서 아시아가 차지하는 비율이 1.4%p 증가하여 89.8%를 차지하느냐'를 묻는 것이 아니다.  묻고 있는 것은 '아시아에 대한 수출입액이 전년대비 1.4%p 증가했느냐'다... 더보기
2012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14번 오답 풀이 미묘한 차이를 발견해야 한다2월 25일 현재 전체 경기 수를 보면 대다수의 팀이 78경기를 뛰었다. 근데, 어떤 팀은 79경기를 뛰었다.  1밖에 차이 안 나지만 그럼에도 이 차이에 따라 정답이 바뀔 수도 있는 만큼,정확하게 볼 필요가 있는 문제다.1번표를 보니 '최근 10경기'라는 항목이 있다. 승수를 보니 9승이고, 패를 보니 1패다.  '그러면 9연승을 한 것인가?'라는 생각이 들어 '최근 연승 연패'라는 항목을 보니 1패라고 나와 있다. '9연승이라고 안 나온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궁금증이 들어 각주를 봤다. 최근 10경기를 했는데 9승 1패고최근 경기까지 연승 또는 연패한 것만 기록하는데,9연승을 하다가 가장 최근 경기에서 1패를 한 것으로 보인다 선지에서 나온대로 최근 1경기만 지고 그 이전.. 더보기
2020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가책형) 8번 오답 풀이 4번을 보자대체로 이런 문제가 시간을 많이 뺏기 위해 후반부 선지에 답을 두는 경우가 많은데,딱 정답이 될 것 같은 느낌을 지니고 있는 4번 선지다.  근데, 숫자가 조금 난해하다. 이걸 보면 딱 들었던 생각이,내가 계산기도 아니고, 이걸 어떻게 정확히 계산하고 있는가였다.  하지만 PSAT 문제가 그렇듯, 이렇게 무식하게 접근하는 것이 아니다. 이렇게 봐도 어려워 보이지만, 분해를 하면 조금 말이 달라진다. 이런 식으로 분해하면 그나마 계산하기 쉬워진다. 결과를 보니 42,xxx가 나왔는데, 이는 42,500에 근접한다. 이 정도면 거의 맞는 것이나 다름 없다.  무상거래하고 유상거래 밖에 없는데 무상거래에서 42,xxx이라는 값을 얻었다면 유상거래도 73,xxx이라는 값이 나오게 된다.  수가 크게 .. 더보기
2020년 민경채 PSAT 자료해석(가책형) 7번 오답 풀이 단번에 답을 식별하지 못하면 시간만 제대로 끌리는 문제전체 데이터의 합이 전년도에 비해 10% 미만의 증감률을 보이느냐 했을 때 합을 해서 봐야지,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946 - 910 (10% 미만이네)330 - 283 (10% 이상이네)175 - 158 (10% 미만이네)135 - 114 (10% 이상이네)117 - 118 (10% 미만이네)전체 합을 구하는 것이 귀찮아도 시간을 아끼기 위해서는 해야 한다. 1번.5톤 미만이면 전부 다 5톤 미만에 해당한다.  그러니까 전부를 합한 것을 비교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거를 일일이 비교해서 10%가 넘느냐 안 넘느냐를 생각했던 것이 내 실수였다. (910하고 946을 비교하며 증감율이 10% 넘는지 이런 식으로. 당연히 이러면 답이 없다..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