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SAT/자료해석

2012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19번 오답 풀이

반응형

두 가지 경우 존재. 다 볼 필요 없다.

이 문제에서는 A가 동식물상이냐, 문화재냐로 경우가 갈린다. 

 

시간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A가 동식물상일 때 조건에 들어맞으면 다른 경우는 찾을 필요도 없이 답을 마킹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A가 동식물상이 아니라면  반대의 경우밖에 없으므로 굳이 다른 경우를 대입해볼 필요가 없다. 

 

그렇지 않으면 시간 소모가 큰 문제가 된다. 

빈칸을 다 채워야만 풀 수 있는 문제

일단 구해야 하는 것은 A, B, C다. 

근데, 

주어진 조건을 보니 A, B, C를 다 구하려면 각 빈칸을 채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그래서 일단

<표1>을 보면 '전문가순위값'이라는 것이 있다.

'전문가순위값'은 

전문가들의 득표 수 순으로 1등부터 7등을 매기는데, 

이 등수에 해당하는 것이 전문가순위값이 된다. 

그래서

이렇게 채워 넣을 수 있다. 

 

그럼 이제 <표2>를 보자

'평균중요도순위값'은 어떻게 구할까?

중요도의 평균값이 큰 순서대로 순위를 매기면 된다. 

 

근데, 실제 평균을 구할 필요는 없다. 

분모가 4로 일정하기 때문에 

그냥 각 중요도(분자)의 합을 구하면 된다. 

1단위로 합하는 것보다는 10단위로 합하는 것이 더 간단하기 때문에 

10단위로 합해보면

 

동식물상 - 11

자연경관 - 24

대기질 - 20

수질 - 19

소음 - 8

 

이라는 값을 얻을 수 있다. 

 

이미 1위는 정해져 있으므로 2위부터 차례대로 매겨보면 

위에 제공된 바와 같은 평균중요도순위값을 얻을 수 있다. 

 

자, 그러면 이제 마지막으로, 최종등급이 남아 있는데, 

최종등급은 종합순위값이 작은 것부터 등급을 부여한다고 하는데, 

그리고 종합순위값은 앞서 구한 두 값의 합에 7을 빼면 구할 수 있다. 

 

그래서

종합순위값을 구해 보면 

동식물상과 문화재 값만 모르고 나머지 값은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동식물상은 x-2, 문화재는 y인데, 

 

여기서 x는 1이나 6이 될 수 있다. 

이렇게 경우를 나눠 보면

 

x가 1이면-(A가 동식물상일 경우)

그러면 동식물상하고 대기질, 수질이 동일한 값을 갖게 되는데, 

동일한 값을 가질 경우

평균중요도순위값이 작은 걸로 따진다고 했으므로

위와 같이 최종등급이 결정된다. 

 

조건에 들어맞고, 경우가 2가지 밖에 없으므로

x는 1이고, 

그래서 A - 동식물상

B- 문화재

C -2 

라고 할 수 있고, 답은 1번이 된다. 

 

굳이 x가 6인 경우는 찾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근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x가 6인 경우는?

 

x가 6이면 -(A가 문화재일 경우)

이 때는 동식물상과 소음의 값이 동일해져서 

평균중요도순위값으로 따져야 한다. 

 

자연경관이 5등이고 이제 소음이 6등이 되어야 하는데,

근데 평균중요도순위값을 보니 동식물상이 5이고, 소음이 6이다. 

그렇다면 동식물상의 최종등급이 6이어야 하는데, 

주어진 정보에 의하면 소음의 최종등급이 6이라고 한다. 

 

조건에 안 맞는다.

그렇기 때문에 x는 1이어야 한다. 

 

x가 1이라는 것은 

 

A - 동식물상

B - 문화재

C - 2

임을 의미하고

 

그래서 답은 1번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