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발문을 제대로 봐야 하는데..
발문은 보긴 했다. 근데 제대로 못 봤다.
전체 대학졸업자와
대학졸업자 중 취업자에 치중한 나머지,
이 두 값을 구하는 것에 중점이 맞춰져 있었다.
근데,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이 두 값을 구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특히나, 데이터가 숫자로 주어진 것도 아니고 이렇게 좌표식으로 되어 있으니 더욱 쉽지 않다.
그래서 '아 이건 넘겨야겠구나'라고 생각하고 넘긴 문제다.
근데, 넘겨서는 안 될 문제였다.
식을 활용하기
여기서 힌트를 얻었어야 했다.
다만, 이대로 대학졸업자 취업률과 대학졸업자의 경제활동인구 비중을 나눠 버리면
이런 식이 되어 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졸업자 중 취업률과 대학졸업자의 경제활동인구 비중을 곱해서
대학졸업자 중 경제활동인구가 소거되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곱해보니, 원래 구해야 할 '전체 대학졸업자' 대비 '대학졸업자 중 취업자' 비율이 나온다.
그러니,
이 두 축의 값을 곱하면 되는 것이다.
그럼 뭐가 OECD 평균보다 클까?
일단 E가 OECD평균보다는 확실히 크다.
왜냐하면 OECD 평균은 50*40인 데에 비해
E는 50*50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G도 확실히 크다.
왜냐하면 한 65*60정도 되기 때문이다.
선지를 보면
G, K가 있는데,
K는 절대로 OECD보다 클 수가 없다.
왜냐하면 K는 80*20인데,
20에서 40은 100% 증가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 4번은 패스
H를 보자.
H는 80*50으로,
40*50인 OECD 평균보다는 확실히 크다.
그럼 이제 D하고 L을 보자.
D는 90*10으로
OECD 평균보다는 확실히 낮다.
1, 3번 패스
L은 55*15로, 마찬가지로 OECD보다는 낮다.
5번 패스
답: 2번이 된다.
'PSAT > 자료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40번 오답 풀이 (0) | 2025.02.23 |
---|---|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39번 오답 풀이 (0) | 2025.02.23 |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35번 오답 풀이 (0) | 2025.02.23 |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26번 오답 풀이 (0) | 2025.02.21 |
2013년 5급 공채 PSAT 자료해석(인책형) 23번 오답 풀이 (0) | 2025.02.21 |